반응형
- Today
- 14
- Total
- 915,619
Notice
Archives
- 2022/08 (1)
- 2022/07 (1)
- 2019/11 (2)
- 2018/05 (1)
- 2018/04 (2)
- 2018/03 (2)
- 2016/05 (1)
- 2014/07 (4)
- 2013/11 (2)
- 2011/09 (1)
- 2011/02 (1)
- 2011/01 (2)
- 2010/11 (2)
- 2010/09 (5)
- 2010/08 (12)
- 2010/07 (13)
- 2010/06 (1)
- 2010/04 (1)
- 2010/01 (4)
- 2009/12 (9)
- 2009/11 (11)
- 2009/10 (4)
- 2009/07 (1)
- 2009/05 (3)
- 2009/03 (6)
- 2009/02 (3)
- 2009/01 (7)
- 2008/12 (1)
- 2008/11 (5)
- 2008/10 (4)
목록2008/12 (1)
jaystory
한국에서 web2.0이 실패한 건 사용자가 틀렸기 때문인가.
. 참여와 공유 그리고 개방을 모토로 하는 소위 web2.0 서비스의 거품도 가신지 꽤 된 것 같다. 여전히 달라진 것은 그리 없는 것 같고, 글로벌하게 보았을 때는 web2.0을 소개할 때 마다, 사람들이 빠지지 않고 종종 소개되는 서비스들은 있는 것 같다. 구글이나 아마존이나 facebook 등 거대한 서비스 등을 제외하고는 모든 사람들에게 인지되고 사용되는 서비스는 없지만, 프리즘을 통한 스펙트럼마냥 정말 다양하고 기발하고 재밌는 서비스들은 참으로 많다. 세상은 넓고 사람은 정말 많구나. 그리고 이미 구현되어 있는 서비스를 보며,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도 참으로 많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머릿속에서 머물러 보았자 그것은 공상일 뿐, 역시 실천이 문제다. 유난히도 국내에서는 web2.0 축에 낄만..
web
2008. 12. 3. 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