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1
- Total
- 915,489
- 2022/08 (2)
- 2022/07 (2)
- 2019/11 (2)
- 2018/05 (1)
- 2018/04 (2)
- 2018/03 (2)
- 2016/05 (1)
- 2014/07 (4)
- 2013/11 (2)
- 2011/09 (1)
- 2011/02 (1)
- 2011/01 (2)
- 2010/11 (2)
- 2010/09 (5)
- 2010/08 (12)
- 2010/07 (13)
- 2010/06 (1)
- 2010/04 (1)
- 2010/01 (4)
- 2009/12 (9)
- 2009/11 (11)
- 2009/10 (4)
- 2009/07 (1)
- 2009/05 (3)
- 2009/03 (6)
- 2009/02 (3)
- 2009/01 (7)
- 2008/12 (1)
- 2008/11 (5)
- 2008/10 (4)
jaystory

이야기는 정말 큰 힘을 갖고 있습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물과 사건이 구성되는 서사 구조가 이야기의 일반적인 구조인데요. 이 이야기의 인물과 장소가 모두가 아는 유명한 곳이라면 그 몰입도는 매우 커질 수 밖에 없겠죠? 궁금할거에요. - - - 우리 모두가 아는 스티브 잡스, 그의 삶에 큰 변곡점이 된 픽사, 그리고 픽사를 위해 스티브 잡스에게 스카웃을 받았던 어떤 변호사의 이야기입니다. 스티브 잡스에서 제안을 받았던 그 순간 그는 이후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 전혀 예상할 수 없었겠지요. 제안받았던 그 순간은 이미 지나간 과거이며 우리는 현재의 픽사를 모두 알기 때문에 앞으로 벌어질 일을 알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그 당시의 그는 정말 막막하고 어려웠을거에요. 물론 그것을 헤쳐 나가고 만들어나갈 수 있다..

세상에 새로운 것이란 존재하지 않는 것 같아요. 평범한 예술가는 베끼지만, 위대한 예술가는 훔친다는 말도 있고요. 내가 보고, 듣고 소비하는 정보들을 나만의 시선과 필터로 관찰하고 살펴보고 자르고 엮어서 나만의, 그리고 모두에게 새로운 것이 만들어지는 것이겠죠. — 나는 트위터의 창립자인 잭 도시가 하는 강연에 참석한 적이 있는데, 그 강연에서 그는 회사의 최고경영자는 회사업무의 편집장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셀 수 없이 많지만, 그 가운데 정말로 중요한 일은 한두 가지에 불과합니다. 수많은 아이디어들이 있고… 엔지니어링부서, 지원부서, 개발부서 등에서 엄청나게 많은 일을 쏟아내는 상황에서… 편집장으로서 나는 수많은 것들을 검토하고 그중에서 정말로 중요한 소수의 것들을 골라내..

명상과 호흡에 대해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매우 절실한 생존의 욕구 때문이었어요. 다양한 관계에서 주고받는 에너지들이 머리 속을 떠나지 않고 고여가죠. 그 어떤 것도 도움이 되지 못할 것 같고, 더 이상 나아지지 않을 것 같은 절망감도 들고요. 술과 같은 짧은 망각의 도구를 써보기도 하고, 해결하기 위해 원인과 결과를 쫓아보기도 하지만.. 결국 내게 평온함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은, 나 자신이라는 것을 깨닫는 것은 참 어려운 일 같아요. * “떠오르는 생각을 다 믿지는 말라.” 우리는 생각을 선택하지 못합니다. 그 생각이 어떤 양상을 취할지도 통제하지 못하지요. 다만 어떤 생각은 더 오래 품으며 고취할 수 있고, 어떤 생각에는 최대한 작은 공간만을 내줄 수도 있습니다. 마음속에 불쑥 떠오르는 생각을 막..
“그걸 꼭 제품으로 검증해야 할까? 우리의 목적은 제품을 만드는 것이었나? 애초에 제품팀은 왜 제품을 만드는가?” '제품팀'이 존재하는 이유는 제품을 만들기 위함일까요? 또 '제품'이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온라인 비즈니스에서 제품은 고객을 만나는 유일한 수단이자 가치를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피드백을 받는 도구이고요. 이를 통해서 고객을 만족시키고 지속가능한 사업구조를 만듭니다. 제품을 통해서 우리의 가설을 실험해보고 맞는지 틀린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유일한 방법은 아닙니다. 또 반드시 필요한 건 아닙니다. 엘리베이터가 느리면 거울을 달면 됩니다. 어떠한 개선은 제품 없이도 가능합니다. 제품팀의 미션은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전달할 가치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죠. ..

과거 그리고 지금도 몇몇 곳에 올려둔 프로필을 통해서 종종 헤드헌터분들의 연락을 받곤 한다. 업의 특성상 (타겟팅이 되었다고는 하지만) 불특정 다수에게 제안을 하고, 대량의 콜드메일을 발송할 수 밖에는 없다지만 인상 깊은 기억들이 있다. - 제목과 본문에 이름에 오타, 혹은 'ㅇㅇ님' 의 수정안된 날 것의 스크립트. - 매우 정성스러운 첫 메일에 비해, 보낸 답장 이후에는 정말 성의없는 응대. - 정말,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나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분야의 포지션 제안. - 어느 순간 피드백이 늦어지거나, 아예 피드백이 없는 경우. (그리고 몇 개월 후에 다른 포지션으로 제안을 한다던지) - 의사가 없으시면 주변의 다른 적합한 분을 추천해달라는 문구. (아예 효과가 없다고 볼 수는 없지만, 그냥 매번 드..